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22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주시가 광역소각장을 직접 운영할 때 공공성과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제공전북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22일 "광역소각장은 이윤 창출의 대상이 아닌 필수 기반 시설"이라며 "전주시가 직접 운영할 때 공공성과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고 밝혔다.
공동대책위는 이날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민간투자사업의 폐해는 이미 증명됐다"며 "민간 운영사는 영업기밀이라는 방패 뒤에 숨어 정보를 은폐하고, 음폐수 무단 반입과 같은 불법을 자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간기업의 이윤 극대화 논리는 환기시설 미비, 스테인리스 배관 대신 플라스틱 배관 사용 등의 안전비용 절감으로 이어졌고 결국 5명의 사상자를 낸 중대재해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공동대책위는 "신규 소각장은 이윤 논리에 매몰되지 않고 시민의 안전, 도시의 환경을 최우선으로 둬야 한다"며 "운영 책임을 공공이 직접 져야만 한다"며 전주시 재정 투입에 따른 직접 운영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양영환 전주시의원(동서학동, 서서학동, 평화1·2동)은 이날 제42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시가 신규 소각장 운영방식을 두고 재정사업과 민간투자 방식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며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범기 시장은 청소행정이 흔들림 없는 기반 위에 설 수 있도록 당장 운영방식을 결정하라"고 주문했다.
상림동에 있는 전주권광역소각자원센터는 2026년 9월 운영 기한 만료를 앞뒀다. 전주시는 4천억원가량을 들여 오는 2030년까지 현 센터 자리에 소각장을 조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