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 제공전북지역 기업들의 55.2%가 미 관세 정책에 따른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전북상협)가 도내 제조업체 121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른 것으로 "8.5%는 직접 영향, 46.7%는 간접 영향 , 43.9%는 무관, 0.9%는 반사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미국 관세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기업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이 44.9%로 가장 많았고 미국 부품·원자재 수출 기업 20.4%, 미국 완제품 직접 수출 18.4%,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 기업 6.1% 등으로 나왔다.
전북상협은 미 관세정책의 강화는 미국에 완제품과 부품·원자재를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미국시장과 연결된 기업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미국 관세 정책이 본격화할 경우 간접 영향에 따른 매출감소(40%)를 가장 우려했으며 수익성 악화(20%) 가격경쟁력 하락(15.7%)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5.7%) 등에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관세정책 대응 수준에 대해서는 전북지역 기업의 77.6%가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며 생산 효율화나 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중은 20.7% 미국 현지생산 전환이나 시장다각화는 1.7%에 그쳤다.
전북상협 김정태 회장은 "미국 관세가 현실화됨에 따라 경영환경이 더욱 나빠질 것"으로 전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와 원가 절감, 시장다변화의 노력과 함께 정책 당국의 지원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월 기준 전북지역 전체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9.7%로 국가별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