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검색
  • 0
닫기

2036 올림픽 유치전, 한국 뒤처질 우려…유치위 조기 구성해야

0

- +

IOC 코번트리 당선인 6월부터 임기 시작
올림픽 개최지 선정 방식 변화 시사
"코번트리, 인도 위원과 가까운 사이"
카타르·사우디는 막강한 자금력
한국 아직 사전 타당성 조사 단계
국제 협상 위한 공식 창구 부재
전북도, "유치위 미리 구상할 계획"

지난 2024년 8월 11일, 프랑스 생드니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린 2024파리올림픽 폐회식에서 토마스 바흐 IOC위원장이 캐런 배스 LA 시장에게 올림픽기를 전달하고 있다. 생드니=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YW 황진환 기자지난 2024년 8월 11일, 프랑스 생드니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린 2024파리올림픽 폐회식에서 토마스 바흐 IOC위원장이 캐런 배스 LA 시장에게 올림픽기를 전달하고 있다. 생드니=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YW 황진환 기자인도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2036 올림픽 유치를 위한 국제 활동을 본격화한 가운데,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올림픽 개최지 선정 방식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가 조기에 올림픽 유치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일 전북자치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차기 IOC 위원장인 커스티 코번트리 당선인은 지난 3월 21일 당선 직후 "미래 (올림픽) 개최지 선정에 IOC 위원들을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몇 가지 아이디어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코번트리 당선인은 그 방안을 아직 밝히진 않았다.

IOC는 지난 2019년부터 올림픽 개최지 선정 절차를 변경했다. 위원들이 선거를 통해 개최지를 결정하는 방식에서 미래추진위원회가 우선 협상 후보 도시를 선정한 뒤 해당 도시와 협상이 이뤄지면 최종 개최지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토마스 바흐 현 IOC 위원장이 도입한 이 방식은 6월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코번트리 차기 당선인에게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코번트리 당선인은 바흐의 후계자라고 일컬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IOC 차기 위원장으로 선출된 커스티 코번트리 당선인. 연합뉴스IOC 차기 위원장으로 선출된 커스티 코번트리 당선인. 연합뉴스다만, 코번트리 위원장이 개최지 결정에 "IOC 위원들을 참여시키겠다"며 IOC 위원들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할 의사를 밝힌 만큼 1개 도시와의 1대1 협상보단 2대1 협상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어떠한 방식으로 개최지를 결정하든 한국은 유치에 뛰어든 인도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보다 불리한 위치에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더 가디언은 "'우선협상후보' 방식이 유지되면 인도가 유력한 개최 후보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그 근거로 "코번트리는 인도의 첫 여성 IOC 위원인 니타 암바니와 가까운 사이"라며 "그녀의 가족은 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이라고 전했다.
인도 아마다바드에 지어질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 스포츠 엔클레이브 조감도. 9천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SNS캡처인도 아마다바드에 지어질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 스포츠 엔클레이브 조감도. 9천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SNS캡처 또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오일머니'라는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국제 스포츠계에서 영향력을 끝없이 확대하고 있다. 특히 카타르가 IOC 위원장 선출 과정에 개입했다는 소문까지 돌고 있다.

이러한 경쟁국들의 적극적인 외교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올림픽 유치추진위원회를 조기에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치위원회는 국제 협상의 공식 창구이기 때문이다.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해당 지방자치단체 3자가 모여 구성하게 되는 유치위원회는 문체부 승인이 필요하다. 그러나 문체부 심의를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사전 타당성 조사는 통상 5~6개월이 소요된다. 올림픽 유치에 뛰어든 각 나라가 외교전을 펼치고 있지만, 한국은 아직 국내 절차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코번트리 당선인의 임기가 시작되고, IOC가 2036 올림픽 개최지 선정에 속도를 내면 불리한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며 "'유치위원회를 구성하는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은 상당히 타당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문체부 승인 전까지 유치위원회를 미리 구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